 | Vol.05 2025년 4월 2일 |
안녕하세요, 카본사우루스 뉴스레터입니다. 탄소회계 솔루션 carbonTrack을 만드는 스타트업 카본사우루스가 발행하는 기후기술 큐레이션 뉴스레터입니다. 태양광, 수소에너지, 이차전지, CCUS 등 주요 기후 기술을 중심으로 정책 변화, 투자 동향, 글로벌 뉴스를 매주 주제별로 묶어 전달합니다.
이번 주 카본사우루스 뉴스레터는 2025년 1분기의 기후 기술 트렌드를 정리합니다. 기후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는 단순한 자금 유입을 넘어 산업의 우선순위와 성장 축을 재편하는 키워드였습니다. |
 | 수소에너지 미국은 수소 세액공제 완화를 통해 수소생산 인프라 조성에 필요한 투자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유럽과 호주도 대형 프로젝트에 대규모 투자를 확정하며 그린수소 기반 인프라 경쟁에 본격 진입했습니다. 이와 함께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생산, 저탄소 수전해 기술 등 다양한 수소 생산 경로에 대한 자금 유입도 눈에 띄었습니다. |
 | 이차전지 LG화학의 전구체 프리 양극재 양산, 삼성중공업의 암모니아 연료전지 개발, 태국 반푸의 4조 원 규모 배터리 전환 선언 등 배터리 생산성과 공급망 전환을 위한 대규모 움직임 등 급속도로 성장하는 이차전지 시장의 소식이 이어졌습니다. |
 | 태양광 대형 태양광 발전소 준공 소식, 대형 CCUS 투자 소식도 많았습니다. 아람코, 스웨덴 정부, 유럽 스타트업들이 직접공기포집(DAC)과 Bio-CCS에 대한 본격적 투자를 시작하며 기술 상용화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
CCUS carbon capture, use and storage 대형 태양광 발전소 준공 소식, 대형 CCUS 투자 소식도 많았습니다. 아람코, 스웨덴 정부, 유럽 스타트업들이 직접공기포집(DAC)과 Bio-CCS에 대한 본격적 투자를 시작하며 기술 상용화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
 | ESS energy saving system 확장 중인 ESS 프로젝트에 LG에너지솔루션, LS일렉트릭, SK그룹 계열사 등은 북미를 중심으로 생산라인 확대와 JV 설립을 추진했고, 호주에서는 3GW급 장시간 저장 시스템에 2조 원대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
|